생산물배상책임보험이란? |
|
피보험자가 제조·판매·공급·시공한 물품(생산물)이나 서비스의 결함 또는 제품안내서
및 경고문구의 부적당함에 기인하여 타인의 신체나 재산에 손상을 입힌 경우,
제조업자나 판매업자, 용역을 제공한 자가 피해자에게 부담해야 하는 법률상의
배상책임을 보상해 드리는 보험입니다.
제조물 책임에 대한 대책은 전사적PL 관리체계의 수립을 통한 사전적 예방대책(PLP)으로 무엇보다
결함 없는 안전한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출발하여야 하지만 아무리 제조물 책임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하더라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사고가 발생하면 손해배상금,
소송비용 등 엄청난 비용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기업으로서는 제조물 책임에
대한 대책수립과 아울러 위험을 어떻게 전가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검토해 두어야 합니다.
생산물배상책임보험(PL)은 기업이 위험을 전가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의 하나로써 피보험자가 제조,
판매 또는 제공한 생산물이, 피보험자의 점유를 벗어난 후, 보험기간 중에 생산물의 품질 또는 기타 결함으로
인한 사고 또는 작업의 완료 또는 양도된 후 그 결과로 인한 사고로 소비자 및 제3자 입은 신체장해 또는
재물손해를 담보하는 손해배상책임보험입니다.
|
|
상품특징 |
|
1. 2002.7.1일자로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됨에 따라 관심이 높아짐
2. 제품 자체를 담보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결함으로 발생된 손해를 담보함
3. 보험료 산출 기초 수는 연간 매출액 기준임 (신규업체는 연간 예상매출액 적용)
4. 제품의 결함과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해야 보상
|
|
생산물 배상책임보험의 가입대상 |
|
- 주요 가입대상
- 완성품 제조자
- 원재료·부품의 제조자
- 주문자상표(OEM) 부착 제조자
- 표시 제조자
- 수입업자
- 제조물의 공급자(판매업자)
|
|
주요 보상하는 손해 |
|
피보험자가 제조, 판매 또는 제공한 생산물 (제조물) 이 피보험자의 점유를 벗어난 후 그 생산물 (제조물) 의 품질 또는 기타 결함으로 인해 소비자 및 제3자에게 신체장해 또는 재물손해를 입힘으로써 피보험자가 지게 되는 법률상 배상책임을 담보합니다.
|
|
|
|
특별약관의 보상내용 |
|
1. 도급업자특약 : 제품의 설치 중에 발생한 배상책임을 담보
2. 판매업자 특약 : 유통과정상의 판매자를 추가 피보험자로 하는 특약
|
|
보상하지 않는 손해 |
|
1. 생산물이나 완료된 작업물 자체의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2. 결함 있는 생산물의 회수, 검사, 수리 또는 대체하는데 소모되는 비용 및 사용손실에 대한 배상책임
3. 생산물의 성질 또는 하자에 의한 생산물자체의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4. 타인과의 계약에 의하여 가중된 배상 책임
5. 생산물로 생긴 수질오염, 토지오염, 대기오염 등 일체의 환경오염에 대한 배상책임
6. 피보험자가 소유, 점유, 임차, 사용, 관리, 보호, 통제하는 재물이 입은 손해에 대하여 정당한 권리를 가진 자에게 지는 배상책임
7. 벌과금 및 징벌적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8. 기타 약관에서 정한 보상하지 않는 손해
|
|
주요 가입대상 |
|
- 완성품 제조자
- 원재료·부품의 제조자
- 주문자상표(OEM) 부착 제조자
- 표시 제조자
- 수입업자
- 제조물의 공급자(판매업자)
|
|
보험기간 |
|
1년을 원칙으로 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생산물배상책임은 시장에 출하된 제품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에 대하여
제조업자, 판매업자 등이 피해자에게 지는 배상책임을 담보하는 것이므로 보험에 가입한 상품의 판매를
중단했다고 하더라도 그 제품이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일반 소비자들의 사용이 중단되지 않는 이상
그 위험은 남아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일제품으로 인한 배상책임에 대하여 보상을 완벽하게 받기 위해서는
제품출하가 중단된 때에도 계속하여 보험계약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조) 제조물책임법 (제7 조)
- 이 법에 의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가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제조업자가 제품을 공급한 날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책임이 소멸함.
|
|
보험 가입시 필요사항 |
|
1. 생산물배상책임 가입질문서
2. 직전 회계연도 손익계산서 사본
3. 제품 설명서
4. 사업자등록증 사본
|
|
요율산정 절차 |
|
보험회사는 각 보험계약의 조건 (즉 생산물의 종류, 판매지역, 사고발생기준 또는 배상청구기준의 선택, 보상한도액, 공제금액, 과거사고 사항, 보험가입경력)을 고려하여 보험 요율을 결정한 후 매출액에 동 보험요율을 적용하여 보험료를 산출합니다.
|
|
기타 유의사항 |
|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산물배상책임보험(PLI)약관은 국문약관과 영문약관이 있으며, 각 약관은 사고담보기준별로 사고발생기준(Occurrence Basis)약관과 배상청구기준(Claims-made Basis)약관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
|
|
1. 손해사고기준증권.손해사고기준증권(Occurrence Basis Policy) 이란 보험기간 중에 발생된 사고이면
그 사고가 언제 발견되었는가 또는 그 사고에 대한 배상청구가 언제 제기되었는가에 관계없이 그 사고가
발생된 일자에 유효한 보험증권상의 보험조건으로 손해사고를 담보하는 증권을 말합니다. 현재 생산물배상책임보험
국문약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배상청구기준증권.배상청구기준증권(Claims-made Basis Policy)이란 보험기간 중에 피보험자 또는 보험회사에
최초로 제기된 손해배상청구를 담보의 기준으로 하며, 그러한 손해배상청구의 원인이 되는 생산물 사고는 증권상에
명기된 소급담보일자 이후에 발생한 것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험기간 중에 손해배상청구가 제기되었다 하더라도
그 사고가 소급담보일자 이전에 발생한 것이라면 담보를 받을 수 없습니다.
현재 생산물배상책임보험 영문약관(PL약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
|